나노계면 물성 연구소 
      
    
 
    
 
    | 자연캠퍼스 | |
| 031-330-6392 | |
| 이현호(공과대학 화학공학과 교수) | |
| 신소재공학과 윤태식 | 
설립일자
2010년 05월 01일
설립목적 및 필요성
 
    
 
    
 
    -  
       01
Strngth
- 1참여교수진의 첨단나도연구 경력
 - 2참여교수진의 정부연구소 및 첨단기업 재직경력
 - 3나노소재 합성 및 제어를 위한 다학재체재
 
 -  
       02
Weakness
- 1학내 나노연구시설 부족 및 미비
 - 2학재 연구 공간 협소
 - 3학내 나노연구 네트워크의 협소성
 
 
-  
       03
Opportunity
- 1용인경기지역의 첨단 연구기업 및 연구소 밀집
 - 2녹색성장을 위한 정부 시책
 - 3나노연구의 기술성 숙도는 아직도 진입기
 
 -  
       04
Threat
- 1나노 연구에 대한 안정성 문제
 - 2대학원 진학율 감소
 - 3경쟁 대학들의 경쟁력 강화
 
 
- 본 연구소는 나노재료 및 나노구조의 계면 및 표면 물성을 이해하고 이를 제어하여, 미래를 선도할 에너지 분야, 전자 재료 및 소자 분야, 광 재료 및 소자 분야에 응용하는 연구를 수행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본 연구소는 나노 계면 물성에 대한 이해와 이를 제어하는 기술을 연구하여, 에너지, 전자 정보, 환경 등 다양한 분야에 이용되는 기능성 재료의 계면/표면 물성 제어 기술을 제공하여 명지대학교내의 첨단연구 및 융합연구 활성화에 기여한다.
 
연구소 발전계획
연구의 목표 및 내용
 
    최종목표: 나노계면 물성 제어를 통한 다기능 재료 합성 및 특성 평가 
   
 
  나노계면 제어를 통한 NT-IT, NT-BT, NT-Energy 응용
나노재료의 계면특성분석 기술 확립
- TEM, XRD를 이용한 나노계면 분석
 - 분사분석기술을 이용한 계면 분석
 - 나노유기물/무기물 계면 분석
 
계면제어를 통한 다기능성 재료 / 구조 합성
- Nono-Ceramic 합성 : 플리머, 세라믹.압전에너지 하베스팅, 나노열전재료
 - 나노재료 및 나노복합재 합성 : 다기능성 core-shell 나노입자 합성, 나노입자 / 나노튜브, 나노재료 기반 3차원 나노구조체 합성, 나노유기물 / 무기물 복합재 합성
 
나노공정개발을 통한 박막제작 기술확립
- 유/무기물 자기조립 제어공장
 - 무기물 나노재료를 나노구조에 집적한 하이브리드 구조제어공정
 - 유/무기물 하이브리드 재료를 이용한 소자제작 공정
 
나노계면 물성제어를 통한 응용
- 열전, 방열, 단열기술
 - 유 / 무기물 하이브리드 나노전자소자
 - 유 / 무기물 하이브리드 태양전지
 - 유 / 무기물 하이브리드연륜전자
 
연구의 추진전력 및 방법
- 대외적인 연구 성과 지표 관리 및 명지대의 연구 능력 홍보
 - 공동연구를 통한 기반기술 확보
 - 대외협력을 통한 연구경쟁력 확보
 - 연구소 인원의 확충 및 명지대학교내의
 
 
     - 1차년도
나노표면 및 계면에 대한 집중연구
 - 2차년도
대외적인 성과 지표 확보 (논문 및 특허)
 - 3차년도
명지대 대외적인 연구경쟁력 확보 및 홍보
 
        하나의 연구단위 주체 
      
 
      
        체계적인 융합연구 환경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