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과소개
교회음악은 기독교 예전의 가장 중요한 예배의 한 부분으로, 찬양의 영성을 교회부흥에 이바지하며, 신앙 공동체인 성도들에게 신앙생활을 통한 모든 영역에 영적인 힘을 공급하여 주는학문이다. 교회음악학과(Dept. of Church Music)는 음악과 신학의 결합된 학문으로, 교회음악에서의 필수적인 음악실기(오르간, 피아노, 성악, 지휘, 관현악, CCM)와 음악이론 그리고 신학(음악목회, 기독교세계관, 찬송가학, 예배와 음악)을 함께 연구하는 학문분야이다.
교육목표
교회 부흥에 필수적인 교회음악은 음악적 실력과 아울러 영성을 겸비한 교회음악 지도자를 요청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요청에 따라 교회음악전공은 음악실기와 이론 그리고 기독교 세계관을 가진 교회음악 전문가를 양성하는데 있다.
개설교과목
전공실기 1,2,3,4 (Private Lesson Ⅰ,Ⅱ,Ⅲ,Ⅳ) | 지도교수의 개인지도를 통하여 전공분야의 작품을 깊이 연구하고, 고도의 연구기술과 해석법을 익힌다. |
---|---|
구약개론 (Introduction to Old Testament) | 성서 내용을 소개․설명하고, 이스라엘의 역사와 관련하여 구약을 전체적으로 이해시킨다. |
신약개론 (Introduction to New Testament) | 신약성서의 배경이 되는 신약사와 신약성서의 정경화 과정을 다루는 정경사화 신약성서 개론을 공부한다. |
찬송가학 (Seminar in Hymndogy) | 교회사와 찬송가와의 상호관계를 다룬다. |
음악목회 (Pastoral Music) | 음악목회에 대한 올바른 신학적 이해를 통해 음악목회의 본질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음악목회의 사명, 음악목회자의 역할과 자질, 그리고 모든 구체적인 프로그램에 대해 다룬다. |
조성음악연구 (Tonal Theory Research) | 18-19세기 조성음악의 화성어법을 이해하고, 성부진행의 기술을 연마하여 이를 조성음악 작품분석에 적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다. |
비조성음악연구 (Atonal Theory Research) | 20세기 음악분석의 대표적 방법으로 자리잡은 집합이론을 배우고, 이 이론을 바탕으로 작품들을 분석한다. |
음악분석 (Form and Analysis) | 전통화성, 현대화성, 대위법 등 음악이론의 총체적 복습과목으로, 음악의 시대적 양식에 따라 특정 작곡가를 선정하여 화성분석, 형식분석, 작곡기법 등을 다룬다. |
음악사 (History of Music) | 고대부터 르네상스에 이르기까지 바로크시대부터 현대에 이르는 음악사의 발달과정을 역사적으로 분석한다. |
교회음악 세미나 (Seminar in Church Music) | 신ㆍ구약 시대에서 종교개혁시대와 현대에 이르기까지 기독교 음악 발달사와 역사적 사건, 인물, 교파음악의 특성과 공헌, 중요한 음악형식 및 한국교회의 음악현실을 알아 본다. |
대중음악연구 (Popular Music Research) | 매우 다양하고, 모호하고, 광범위한 대중음악의 형식, 표현, 감상 등을 다루면서 대비되는 순수음악과의 차이점, 상업성, 경계 등을 이해한다. |
합창지휘법 고급 (Advanced Choral Conducting) | 지휘법의 기본과 응용을 익히고, 합창음악의 특징을 체득하는 동시에 시대별, 종류별 여러 합창음악의 해석과 연주의 문제점을 구체적으로 다루어 합창지휘의 기본능력을 갖춘다. |
교과과정
- 1전공실기 : 모든 실기분야 대학원 학생은 교회음악학과 교수 중 1명을 택하여 전공실기지도를 받아야 한다. 단, 부득이한 사정으로 교회음악학과 교수의 실기지도가 불가능 할 경우에는 주임교수가 본교 전임교수 또는 강사를 전공실기지도교수로 임명할 수 있다.
- 2종합시험
- 전공문헌 포함한 2과목 : 이론전공
- 졸업연주 계획서 심사 : 실기전공
- 3졸업, 공개연주 : 석사과정의 실기전공생은 종합시험에 합격 후 5학기에 1회의 졸업연주회(60분 내외, 작곡전공은 30분 이상)를 가져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