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과 및 전공소개
교회음악전공 (Department of Church Music)
교회음악은 기독교 예전의 가장 중요한 예배의 한 부분으로, 찬양의 영성을 교회부흥에 이바지하며, 신앙 공동체인 성도들에게 신앙생활을 통한 모든 영역에 영적인 힘을 공급하여 주는학문이다. 교회음악학과(Dept. of Church Music)는 음악과 신학의 결합된 학문으로, 교회음악에서의 필수적인 음악실기(오르간, 피아노, 성악, 지휘, 관현악, CCM)와 음악이론 그리고 신학(음악목회, 기독교세계관, 찬송가학, 예배와 음악)을 함께 연구하는 학문분야이다.
음악예술경영학 전공 (Music Arts Management)
음악예술경영학은 음악예술의 본질을 파악하고 이를 수용하는 이론적인 토대를 연구함과 동시에 음악예술 교육 현장에서 실무상의 문제와 이론상의 격차를 줄임으로써 사회적 요 구에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음악예술경영인과 음악예술가를 배출하는 실질적인 학문이다. 특히 예술을 실행하는 현장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들(연주자의 역량 강화, 연주회의 기획 능력 함양, 합리적 음악예술교육과 음악예술경영, 예술의 시장성 확보 등)을 파악함 으로써 현대사회가 요구하는 바의 음악예술의 사회적 임무를 고양하는 학문이다. 음악예술 경영학은 제4차 산업혁명 가운데 요구되는 예술가의 사회적 역량과 기능을 함 양하고, 이를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구현할 전문적 소양을 겸비한 전문 음악예술경영인 을 배출하는데 이바지할 것이다.
교육목표
교회음악전공 (Department of Church Music)
교회 부흥에 필수적인 교회음악은 음악적 실력과 아울러 영성을 겸비한 교회음악 지도자를 요청하고 있다. 이러한 시대적 요청에 따라 교회음악전공은 음악실기와 이론 그리고 기독교 세계관을 가진 교회음악 전문가를 양성하는데 있다.
음악예술경영학 전공 (Music Arts Management)
① 체계적 교육을 통해 최고 수준의 전문 음악예술경영인 양성 ② 융합적 지식에 기반한 4차산업혁명시대를 선도할 음악교육기획자 양성 ③ 진취적이고 창의적 발상으로 현대사회를 풍요롭게 유능한 음악공연예술 분야의 인재양성
20년간 예술교육현장에서의 경험과 성과를 바탕으로 이론과 현장성이 결합된 교육 시스템을 구축함으로써 올바른 가치관과 사명감을 갖추고 시대적 패러다임을 파악하고 문제 해결 능력을 갖춘 음악예술경영인과 예술인의 양성을 목표로 한다.
교수진 소개
박남연 (주임교수) : 교회음악학, 성악
- 프랑스 파리고등음악원 최고연주자과정 졸업
- 이태리 로마 A.R,A,M 아카데미 졸업
- ODESSA 국립오페라하우스 ”라보엠“ 미미역 데뷔
- 2003 MBC문화방송 차세대성악가 선정
- 한미수교 100주년 기념 한국인 최초 미국국회의사당 초청연주
- 프랑스 Nice 국제페스티발 “동양인 최초 최고뮤지션 선정” “Le Manastere de Cimiez”홀 초청연주
- 제3회 대한민국오페라대상 기업가상 선정
- CTS 아트홀 예술감독 역임
- 르네상스 오페라단 예술감독 역임
- 현) 명지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교수, (사)대한민국공연예술협회 이사장
양진모 : 지휘, 작곡
- 한양대학교 음악대학 작곡과 지휘 전공 졸업
- 이탈리아 시에나 키지아나 아카데미 오페라, 오케스트라 지휘과 졸업
- 밀라노 베르디 국립음악원 오케스트라 지휘과 및 지휘과 조교과정 포스트 디플로마 졸업
- 알도 체카토 마스터클래스 특별상 수상, 국립오페라단 아카데미 전임강사 역임
- 현) 이탈리아와 한국, 일본에서 오페라, 콘서트 지휘자로 활동 중 명지 홀리 오케스트라 상임지휘자, 진주시 이상근 국제음악제 음악감독 한양대, 서울시립대, 국민대, 명지대 대학원 출강
김 강 : 오르간, 피아노
- 서울신학대학교 교회음악과 졸업
- 한국예술종합학교 음악원 예술전문사과정 졸업
- 프랑스 파리국립음악원 졸업
- 스위스 바젤국립음대 졸업
- 앙상블 오르투스 멤버, 프리모깐딴데 반주자, 기독교대한성결교회 목사합창단 반주자
- 현) 명지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객원교수, 한국교회음악아카데미협회 이사
박양희 : 피아노
- 한양대학교 음악대학 졸업
- 미국 인디애나 주립대 음대 피아노 연주 석사 졸업
- 미국 인디애나 음대 전문 연주자 과정 졸업
- 미국 일리노이주립대 박사 졸업
김지선 : 피아노
- 명지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교회음악학과 석사 졸업
- 베스트셀러 ‘전체대상 200회의 비밀’, ‘샛별쌤의 오늘은 콩쿠르’저자
개설교과목
전공실기 1,2,3,4 (Private Lesson Ⅰ,Ⅱ,Ⅲ,Ⅳ) | 지도교수의 개인지도를 통하여 전공분야의 작품을 깊이 연구하고, 고도의 연구기술과 해석법을 익힌다. |
---|---|
구약개론 (Introduction to Old Testament) | 성서 내용을 소개․설명하고, 이스라엘의 역사와 관련하여 구약을 전체적으로 이해시킨다. |
신약개론 (Introduction to New Testament) | 신약성서의 배경이 되는 신약사와 신약성서의 정경화 과정을 다루는 정경사화 신약성서 개론을 공부한다. |
찬송가학 (Seminar in Hymndogy) | 교회사와 찬송가와의 상호관계를 다룬다. |
음악목회 (Pastoral Music) | 음악목회에 대한 올바른 신학적 이해를 통해 음악목회의 본질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음악목회의 사명, 음악목회자의 역할과 자질, 그리고 모든 구체적인 프로그램에 대해 다룬다. |
조성음악연구 (Tonal Theory Research) | 18-19세기 조성음악의 화성어법을 이해하고, 성부진행의 기술을 연마하여 이를 조성음악 작품분석에 적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다. |
비조성음악연구 (Atonal Theory Research) | 20세기 음악분석의 대표적 방법으로 자리잡은 집합이론을 배우고, 이 이론을 바탕으로 작품들을 분석한다. |
음악분석 (Form and Analysis) | 전통화성, 현대화성, 대위법 등 음악이론의 총체적 복습과목으로, 음악의 시대적 양식에 따라 특정 작곡가를 선정하여 화성분석, 형식분석, 작곡기법 등을 다룬다. |
음악사 (History of Music) | 고대부터 르네상스에 이르기까지 바로크시대부터 현대에 이르는 음악사의 발달과정을 역사적으로 분석한다. |
교회음악 세미나 (Seminar in Church Music) | 신ㆍ구약 시대에서 종교개혁시대와 현대에 이르기까지 기독교 음악 발달사와 역사적 사건, 인물, 교파음악의 특성과 공헌, 중요한 음악형식 및 한국교회의 음악현실을 알아 본다. |
대중음악연구 (Popular Music Research) | 매우 다양하고, 모호하고, 광범위한 대중음악의 형식, 표현, 감상 등을 다루면서 대비되는 순수음악과의 차이점, 상업성, 경계 등을 이해한다. |
합창지휘법 고급 (Advanced Choral Conducting) | 지휘법의 기본과 응용을 익히고, 합창음악의 특징을 체득하는 동시에 시대별, 종류별 여러 합창음악의 해석과 연주의 문제점을 구체적으로 다루어 합창지휘의 기본능력을 갖춘다. |
세계음악사(WORLD MUSIC HISTORY) | 고대,중세,르네상스,바로크,고전,낭만,현대에 이르는 전반적 음악의 역사를 연구함으로써 음악적 기초 소양을 마련한다. |
앙상블 연주(ENSEMBLE CONCERT) | 앙상블 조화를 위한 예술가·연주자로서의 공연장·무대에서의 실제적인 연주자의 자세, 무대매너, 자질을 연습함으로써 졸업 리사이틀 준비 및 리허설 기회로 삼는다. |
피아노 교수법(PIANO PEDAGOGY) | 음악도들의 교육현장에서 필요한 직접적이고 다양한 교수법을 개발한다. |
고급지휘법 (CONDUCTION TECHNIQUEY) | 악곡의 구성과 해석에 가장 중요한 지휘법을 연마한다. |
전공실기1.2.3.4 (PRACTICAL MAJOR SKILLS) | 개인 전공 역량의 발전을 위해 전공실기를 연마한다. |
음악분석법(ANALYSIS OF MUSIC) | 악곡의 편곡과 분석을 통해 시대별 음악해석을 실시한다. |
음악예술경영학개론(INTRODUCTION TO MUSIC ARTS MANAGEMENT) | 음악예술경영에 관한 일반적인 이론과 사례를 통해 예술경영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를 돕는다. |
음악예술경영과 행정 프로젝트 1.2(MANAGEMENT & ADMINISTRATION PROJECT 1.2) | 효율적이고 창의적인 문화예술 경영/행정의 능력을 확보하기 위해 학기별로 연속 강의를 실시하고 관련된 사업 실행을 도모한다. |
공연예술마케팅(MARKETING FOR PERFORMANCE ART) | 공연예술시장의 이해와 기능, 일련의 과정들을 이해한다. |
음악예술경영 리더쉽(MUSIC ARTS MANAGEMENT LEADERSHIP) | 조직을 이끌어가는 경영자, 리더로서 갖추어야 할 덕목과 행동을 공부한다. 올바른 예술 철학의 정립함으로써 가치 있고 아름다운 삶을 구현할 방법을 연구하고, 공동체 내 매체들간의 소통을 이해·연구한다. |
교과 과정
전공 | 1학차 | 2학차 | 3학차 | 4학차 | 5학차 | 졸업 | |
---|---|---|---|---|---|---|---|
공통 | 교회음악학 전공 | 찬송가학 음악사 |
지휘법 교회음악개론 예배와 음악 기초작곡 편곡법 성경통론 CCM반주법 교회사 벨칸토창법 앙상블연주 음악예술경영과 행정프로젝트2 피아노교수법 음악예술경영학개론 예술교육마케팅 음악예술경영리더스포럼 |
종합시험 | |||
음악예술경영학 전공 | 음악예술경영과 행정프로젝트1 |
||||||
학점 졸업 | 30학점 이수 + 졸업연주 |
||||||
논문 졸업 | 연구방법론 | 공연컨텐츠 세미나 논문지도(P) 실습 특강 |
논문 최종심사 | 24학점 이수 + 논문제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