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과소개
미술사학과는 학문을 연구하는데 이론적 실증에 따라 다른 다양한 학습방법과 더불어 현장학습과 실물 문화재를 접하면서 갖추는 전문적인 지적연구에 전념하도록 한다. 또한 심미안적 시각과 체계 적인 연구방법을 습득함으로써 즉 시간이 지나면서 인류가 추구해온 문화유산의 역사와 가치를 논하 면서 그 미적가치의 중요성을 탐구하는 것으로 현장학습과 전문지식의 세부적인 연구지향을 위한 원활한 수업, 학술회의 및 세미나의 적극적인 참여 등의 다양한 학문체험을 경험하게 된다.
교육목표
전통적인 학문 연구를 바탕으로 미래 지향적 탐구 학문과 상호 호응할 수 있는 첨단화된 교육을 지향하고, 21세기 비전에 따라 학문 연구의 중심적인 구축역할을 하도록 우수한 인재를 배출하여 발전하는데 있다.
- 가학문에 대한 보다 깊이 있는 연구를 통한 좀더 넓은 영역의 학문으로 나아 갈 수 있는 기초를 확립할 수 있게 해준다.
- 나국, 내외 유수 박물관이나 미술관에서의 현장실무에 참여하여 경험을 쌓는다.
- 다역사현장의 답사를 통한 다양한 연구의 영역을 확립해 준다.
교수진 소개
유홍준(석좌교수): 한국미술사
-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동양철학과 박사
- 영남대학교 조형대학 교수 역임
- 영남대학교 박물관 관장 역임
- 명지대학교 미술사학과 교수 역임
- 명지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원장 역임
- 제3대 문화재청 청장 역임
- 제주 추사기념관 명예관장
- 현) 명지대학교 미술사학과 석좌교수
- 현) 한국학중앙연구원 이사장
윤용이(석좌교수): 한국도자사
- 성균관대학원 졸업
- 국립중앙박물관 학예관 역임
- 원광대학교 국사학과 교수 역임
- 2002~2012 명지대학교 미술사학과 교수 역임
- 명지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원장 역임
- 명지대학교 박물관 관장 역임
- 문화재청 문화재위원 역임
- 현) 명지대학교 미술사학과 석좌교수
이태호(석좌교수): 한국회화사
- 홍익대학교 대학원 졸업
- 국립중앙박물관 학예연구사 역임
- 국립광주박물관 학예연구사 역임
- 전남대학교 교수 역임
- 전남대학교 박물관 관장 역임
- 명지대학교 박물관 관장 역임
- 명지대학교 인문대학 미술사학과 교수
- 문화재청 문화재감정위원 역임
- 문화재청 문화재위원 역임
- 명지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원장 역임
- 현) 명지대학교 미술사학과 석좌교수
이지은: 현대미술, 시각문화이론
- 보스턴대학교 미술사학과 석사, 박사
- 명지대학교 인문대학 미술사학과 교수(2004-)
- 현대미술사학회 임원 (2004-2007)
- 서양미술사학회 임원 (2005-2006)
- 한국미술사교육학회 임원 (2005-2007)
- 몽블랑 문화예술후원자상 심사위원 (2011-2012)
- 국립현대미술관 올해의작가상 운영위원 (2014-2015)
- 한국연구재단 문화융복합단 전문위원 (2015-)
- 한국미술이론학회 회장 (2016-2017)
- 명지대학교 인문대학 미술사학과장 (2016-2017)
- LG연암 해외공동연구교수 (2018)
- 미국 MIT대학 건축학과 ‘역사, 이론, 비평’분과 (2018-2019)
- 미국 웰슬리 대학 뉴하우스 인문학 연구소 교수 펠로우 (2019-2020)
- 현) 문화예술대학원 원장
이주현: 중국미술사
- 홍익대학교 미술사학과 석사
- 독일 Heidelberg University 박사
- 한국미술사학회 연구 이사 역임
- 명지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원장 역임
- 미술사학연구회 회장 역임
- 대표저서: 『중국현대미술사』, 『근대를 만난 동아시아 회화』(공저), 『Wu changshuo – der letzte Literatenmaler im modernen China』, 『Den Himmel in der PinselspitzeChinesische Malerei des 20. Jahrhunderts』 등
최선아: 불교미술사
-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석사
- 미국 University of Chicago 박사
- 미국 Columbia University, University of Chicago 강사 역임
- 한국미술사학회 총무이사
- 『중앙아시아연구』, 『신라문화』 편집위원
- 명지대학교 박물관 운영위원
- 한국미술사학회 편집위원장 역임
서윤정(주임교수): 한국회화사
-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석사
- 미국 캘리포니아주립대학교 (UCLA) 박사
- UCLA, Forum Transregionale Studien, 베를린 자유대학에서 연수 과정 및 조교수 재직
- 미술사학연구회 학술 이사 역임
교과목 목록
1970년이후의미술사연구 | 1970년대 이후 동시대 미술의 향방을 살펴보고 동시대 미술에 대한 이해를 넓히며 이를 보는 비평적 시각을 기른다. |
---|---|
19세기서양미술사 | 19세기 서양 미술의 발전과정을 둘러싼 사회적 맥락과 작품 분석과 당시의 예술작품에 대한 평론과 사회의 관계를 심도 깊게 다룬다. |
고려도자사 | 고려청자의 탄생과 변화, 발전 상황을 유기적으로 이해하며 고려청자의 기원과 시기별 변화 과정을 고찰한다. |
근현대미술감정 | (2017년 이주현 교수님-감정학 입문) / 중국어 논문 해석을 중심으로 20세기 중국 제화파의 회화사적 의의와 특징을 살펴보고 작품 감정의 방법을 살펴본다. |
근현대아시아미술사 | 중국 근현대 미술사를 양화, 국화를 어울러 시대별로 고찰하고자 한다. |
기독교미술세미나 | 초기 기독교미술로부터 중세를 거쳐 르네상스, 바로크에 이르기까지 기독교 도상의 변화를 시대적 배경을 통해 탐구할 것이다. |
뉴미디어아트이론과비평론 | 뉴미디어아트의 특수성 및 그 이론의 잠정적 성격을 전제하면서 동시에 이와 관련된 전반적인 논의의 흐름을 개괄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뉴미디디어 예술현상에 관한 포괄적인 관점의 형성을 도모한다. |
동서미술교섭사 | 9세기 이후 아시아를 중심으로 주변으로 확대된 도자교류 양상의 단면을 파악하며 문화교류의 측면에서 본 도자사의 흐름과 특징을 살펴본다. |
르네상스와바로크미술사 | 르네상스와 바로크 시기에 대한 미술사적 쟁점들에 대한 검토와 기본적 배경을 소개한다. |
미술사방법론 | 미술사 방법론의 전체적 흐름을 살피고 방법론적으로 중요한 논저들을 강독한다. |
미학사 | 포스트구조주의 미학의 주요 인물들을 중심으로 포스트구조주의 미학 이론을 이해하고자 한다. |
박물관학특강 | 박물관, 미술관 또는 뮤지엄이라 불리는 기관의 정의를 개괄하고 서구의 여러 미술품 컬렉션의 형성부터 근대적 박물관의 탄생과 발전 과정을 훑어보고자 한다. |
불교미술세미나 | 삼국시대부터 근현대까지의 한국 불교미술 연구의 주요 쟁점과 연구사를 살펴본다. |
서양건축사 | 고대부터 시작하여 근대에 이르기까지 서양 건축물에 관한 역사를 시기별로 비교 연구한다. |
서양고전미술사 | 서양미술의 고전주의를 대표하는 작품을 시대별로 분석하고 고전성의 개념을 추적한다./td> |
서양미술사세미나 | 19세기 후반부터 20세기 전반을 아우르는 모던 아트와 모더니즘 미술의 다양한 측면, 새로운 해석과 시각 등을 검토하여 현대미술에 대한 종합적이고 다각적인 이해를 도모하고 이를 통해 동시대 미술에서의 현대성을 재고한다. |
선사미술과고고학연구 | 우리나라 선사미술의 핵심인 도자기를 제작한 가마에 대한 이해와 함께 시기별 도자기 가마의 구조 및 특징 변화를 파악한다. |
시각문화이론연구 | 현대 미술의 미학과 담론을 주도하고 있는 사진의 흐름과 작가들의 작품을 면밀히 검토하는 과정에서 사진의 매체적 가능성과 미학적 가능성을 탐구하고 현대 미술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의 폭을 넓히고자 한다. |
예술품 감정실습 | (2017년 이지은 교수님 갤러리옥션실습) 갤러리와 대안공간, 옥션, 미술관, 박물관 등 미술기관들에서의 실무를 익히는 것을 목적으로 개설한다. |
인도중앙아시아미술 | 인도 중앙아시아 미술사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진 이슈를 점검하고 다룬다. |
일본미술사 | 에도시대 말부터 1970년대까지의 일본의 근현대미술사의 흐름을 이해하고 연구를 심화하고자 한다. |
작가론 | 미술가에 대한 전기적 고찰과 함께 작품 세계에 관한 심도깊은 연구를 진행한다. |
조선도자사 | 조선시대 15세기 전반에서 20세기 초까지 제작된 조선분청자, 백자, 청화백자, 도기 등의 특징과 변천과정을 살펴본다. |
조선시대회화사 | 조선시대 회화사 연구에 필수적인 1차 문헌과 사료를 중심으로 작가론, 조선 시대의 화론, 서화 비평, 감상과 수장, 작품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는 것을 목표로 한다. |
중국도자사 | 세계 도자의 중심의 하나인 중국 도자의 역사와 문화, 발달사를 살펴본다. |
중국조각사 | 고려후기-조선전기 불교조각 연구의 폭을 넓히기 위해 동시기 중국, 일본 불교미술을 살피며 위진남북조 및 수, 당대 중국 불교미술의 전반적인 흐름과 주요한 주제들을 살펴본다. |
중국회화사 | 고대부터 원대까지의 회화사의 흐름을 나누어 살펴보며 화론서, 미술사 서적에 등장하는 사료를 분석함으로써 이론과 작품간의 상관관계를 고찰하거나 진위관계를 살펴보고자 한다. |
중국회화사연구Ⅱ | 북한미술의 시기별 발전상을 고찰하고 북한의 사회주의 사실주의 미술의 특징을 중국 및 소련의 사회주의 사실주의 미술과의 비교론적 관점에서 고찰하고자 한다. |
포스트모더니즘미술이론세미나 | 모더니즘 이후 미술의 변화와 이를 해석하는 이론, 미술사, 철학, 문화비평들에 관한 이해와 비평적 시각을 모색하기 위해 관련 텍스트와 작품, 작가론 연구를 중심으로 진행한다. |
한국건축사 | 건축학에 대한 기초적 이해를 바탕으로 한옥의 독창성과 우수성에 대해 논의하여 이를 바탕으로 현시점의 우리 주거문화에 대해 논의한다. |
한국고고학연구 | 서울지역 발굴성과의 이해와 활용을 통해 조선시대 고고학과 도자사의 연구역량을 증진한다. |
한국고대회화사 | 한국 고대 회화를 대표하는 고구려 고분벽화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한국공예사 | 우리 전통 공예에 관해 문헌과 미술품을 중심으로 공예 전반의 체계적인 미술사적인 접근을 하고자 한다. |
한국근대회화세미나 | 한국근대회화의 성격, 20세기 작가와 작품세계를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한국근현대미술사 | 한국 근대미술의 흐름을 역사적인 배경과 문화적 분위기에서 화가들과 그들이 일군 한국 근대미술의 발전사를 알아보고자 한다. |
한국도자사 | 한국미술사의 근본인 도기의 변천을 통해 한국미술사의 기본적인 이해를 목표로 하며 한국 도기를 중심으로 기원과 시대별 기형과 문양의 변천 과정을 고찰한다. |
한국도자사연습 | 고려와 조선시대 대표적인 공예품인 자기(瓷器)의 대표적 문양과 기종을 학습하여 각 시대별 문화의 특징과 변화양상을 입체적으로 이해한다. |
한국미술사세미나 | 산수화와 더불어 한국 미술의 형성과 이해에 필수적인 인물화의 역사와 발전 과정을 심도 있게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
한국서예론 | 한국 서예사를 개관하고 각 시대의 전개 양상을 살펴 그 특징을 파악함으로써 한국의 서예와 여타 장르의 상호 관계를 이해한다. |
한국조각사 | 삼국유사를 통해 삼국시대. 통일신라시대 불교미술에 대해 살펴본다. |
한국회화사 | 18세기 이후 성장한 도시와 도시를 배경으로 등장한 새로운 시각문화와 미술활동을 조선후기에서 근대까지 조선과 서울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
현대미술과사진 | 현대 미술의 미학과 담론을 주도하고 있는 사진의 흐름과 작가들의 작품을 면밀히 검토하는 과정에서 사진의 매체적 가능성과 미학적 가능성을 탐구하고, 현대미술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의 폭을 넓히는 과정으로 구성된다. |
현대미술이론연구 | 현대미술이론에서 중요한 개념으로 떠오르고 있는 모더니즘과 글로벌리즘, 로컬리즘, 장소성, 타자성, 젠더 등의 키워드를 중심으로 진행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