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과소개
미술사학과는 학문을 연구하는데 이론적 실증에 따라 다른 다양한 학습방법과 더불어 현장학습과 실물 문화재를 접하면서 갖추는 전문적인 지적연구에 전념하도록 한다. 또한 심미안적 시각과 체계 적인 연구방법을 습득함으로써 즉 시간이 지나면서 인류가 추구해온 문화유산의 역사와 가치를 논하 면서 그 미적가치의 중요성을 탐구하는 것으로 현장학습과 전문지식의 세부적인 연구지향을 위한 원활한 수업, 학술회의 및 세미나의 적극적인 참여 등의 다양한 학문체험을 경험하게 된다.
교육목표
전통적인 학문 연구를 바탕으로 미래 지향적 탐구 학문과 상호 호응할 수 있는 첨단화된 교육을 지향하고, 21세기 비전에 따라 학문 연구의 중심적인 구축역할을 하도록 우수한 인재를 배출하여 발전하는데 있다.
- 가학문에 대한 보다 깊이 있는 연구를 통한 좀더 넓은 영역의 학문으로 나아 갈 수 있는 기초를 확립할 수 있게 해준다.
- 나국, 내외 유수 박물관이나 미술관에서의 현장실무에 참여하여 경험을 쌓는다.
- 다역사현장의 답사를 통한 다양한 연구의 영역을 확립해 준다.
교수진 소개
직급 | 성명 | 학위명 | 전공 | 비고 |
---|---|---|---|---|
주임교수 | 서 윤 정 | 박사 | 한국회화사 | |
석좌교수 | 이 태 호 | 석사 | 한국회화사 | |
석좌교수 | 유 홍 준 | 석사 | 한국미술사 | |
석좌교수 | 윤 용 이 | 석사 | 한국도자사 | |
교 수 | 이 지 은 | 박사 | 현대미술사 | |
교 수 | 이 주 현 | 박사 | 중국미술사 | |
부교수 | 최 선 아 | 박사 | 불교미술사 |
교과목 목록
교과목명(국문) |
구분 |
학점 |
1970년이후의미술사연구 |
전공선택 |
3 |
19세기서양미술사 |
전공선택 |
3 |
고려도자사 |
전공선택 |
3 |
근현대미술감정 |
전공선택 |
3 |
근현대아시아미술사 |
전공선택 |
3 |
기독교미술세미나 |
전공선택 |
3 |
뉴미디어아트이론과비평론 |
전공선택 |
3 |
동서미술교섭사 |
전공선택 |
3 |
르네상스와바로크미술사 |
전공선택 |
3 |
미술사방법론 |
전공선택 |
3 |
미술품상태조사 |
전공선택 |
3 |
미학사 |
전공선택 |
3 |
박물관학특강 |
전공선택 |
3 |
분석실험및해석 |
전공선택 |
3 |
불교미술세미나 |
전공선택 |
3 |
불교미술특강 |
전공선택 |
3 |
서양건축사 |
전공선택 |
3 |
서양고전미술사 |
전공선택 |
3 |
서양미술사세미나 |
전공선택 |
3 |
서양중세미술사 |
전공선택 |
3 |
선사미술과고고학연구 |
전공선택 |
3 |
시각문화이론연구 |
전공선택 |
3 |
예술품 감정실습 |
전공선택 |
3 |
인도중앙아시아미술 |
전공선택 |
3 |
일본미술사 |
전공선택 |
3 |
작가론 |
전공선택 |
3 |
조선도자사 |
전공선택 |
3 |
조선시대회화사 |
전공선택 |
3 |
중국건축사 |
전공선택 |
3 |
중국도자사 |
전공선택 |
3 |
중국조각사 |
전공선택 |
3 |
중국회화사 |
전공선택 |
3 |
중국회화사연구Ⅱ |
전공선택 |
3 |
포스트모더니즘미술이론세미나 |
전공선택 |
3 |
한국건축사 |
전공선택 |
3 |
한국고고학연구 |
전공선택 |
3 |
한국고대회화사 |
전공선택 |
3 |
한국공예사 |
전공선택 |
3 |
한국근대회화세미나 |
전공선택 |
3 |
한국근현대미술사 |
전공선택 |
3 |
한국도자사 |
전공선택 |
3 |
한국도자사연습 |
전공선택 |
3 |
한국미술사세미나 |
전공선택 |
3 |
한국서예론 |
전공선택 |
3 |
한국조각사 |
전공선택 |
3 |
한국회화사 |
전공선택 |
3 |
현대미술과사진 |
전공선택 |
3 |
현대미술이론연구 |
전공선택 |
3 |
회화작품복원 |
전공선택 |
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