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과소개
한국음악의 계승과 발전이라는 취지아래 전통음악의 기반을 다지고 창작음악을 발전시키는 교과과정을 통해 우수한 실기능력을 배양하고 학문적 지식 및 체계적인 이론교육을 통하여 전문성과 창의성 및 리더십을 두루 갖춘 한국을 대표할 수 있는 문화 예술인을 양성하는 학과이다.
교육목표
- 전통음악과 창작음악의 균형 있는 실기교육
- 한국음악분야의 체계적인 학문적 이론교육
- 창의적인 학술연구능력과 연주지도력을 갖춘 리더십 인재 개발
- 경쟁력을 갖춘 우수한 전문 예술인 양성
- 차별화된 특성화 교육프로그램 및 교육시스템 개발
교수진 소개
순번 | 성명 | 소속 | 최종학위 | 전공 |
---|---|---|---|---|
1 | 김차규 | 명지대학교 사학과 교수 | 파리 사회과학연구원 박사 | 비잔티움사 |
2 | 최경국 | 명지대학교 일어일문학과 교수 | 동경대학교 박사 | 표상문화론 |
3 | 최일규 | 명지대학교 영화뮤지컬학부 교수 | 영국라반 석사 | 뮤지컬 |
4 | 강상우 | 명지대학교 객원조교수 | 수원대학교 석사 | 한국음악 |
5 | 류재원 | 명지대학교 시간강사 | 서울대학교 박사수료 | 한국음악 |
6 | 윤진철 | 명지대학교 시간강사 | 용인대학교 석사 | 한국음악 |
7 | 서태경 | 명지대학교 시간강사 | 전북대학교 박사수료 | 한국음악 |
8 | 박현주 | 명지대학교 시간강사 | 한양대학교 박사수료 | 한국음악 |
9 | 정민진 | 명지대학교 시간강사 | 중앙대학교 박사수료 | 한국음악 |
10 | 오지연 | 명지대학교 시간강사 | 한양대학교 박사수료 | 한국음악 |
개설 교과목
구분 | 과목명 | 영문명 |
---|---|---|
전공필수 | 고등전공실기 1 | Advanced Individual Instruction Major 1 |
고등전공실기 2 | Advanced Individual Instruction Major 2 | |
고등전공실기 3 | Advanced Individual Instruction Major 3 | |
고등전공실기 4 | Advanced Individual Instruction Major 4 | |
전공선택 | 한국악기론 | Instrument of Korean Music |
예술기획론 | Theory of Arts Planning | |
한국음악사연구 | History of Korean traditional music | |
한국음악선율구조론 | Melodic Structure of Korean Music | |
민속악연구 | Study in Folk Music | |
동양음악연구 | Study in Oriental Music | |
한국음악총론 | Korean Music Theory | |
한국음악교육론 | Korean Music Education | |
한국전통연희 |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 |
창의적방법을통한국악교수법 | Teaching Korean Music through Creative Methods | |
한국음악지도방법론 | Guidance of South Korea to music theory | |
논문연구 | Studies in Thesis | |
졸업작품 | Graduate Performance |
개설 교과목 안내
고등전공실기1, 2, 3, 4 | 각 전공에 대한 실기 및 이론의 수준에 따라 신축성 있게 설정되어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교육을 통하여 개개인의 음악적 표현수단, 이론의 체계화를 극대화시켜 음악활동을 도모한다. |
---|---|
한국악기론 | 한국 전통악기의 분류, 현행 사용악기의 구조, 음역, 음색, 연주법, 연주형태 등의 분석을 통하여 전통음악의 새로운 해석 및 악기개조의 가능성을 검토한다. |
예술기획론 | 공연예술의 관한 공연의 시작과 끝을 기획해 객관적 사실과 근거를 계획서로 정립 및 작성하는 과목으로써, 관념적이고 피상적으로 여겨지는 공연예술을 다양한 시각에서 바라보고 고정적인 사고에서 벗어나 예술의 본질과 좋은 공연을 기획한다. |
한국음악사연구 | 상고시대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국악의 역사전인 발달과정 특히 각 시대의 양식상의 변화. 외래음악의 영향 및 흡수, 사회적인 배경, 악기법의 변천 등을 고찰하고 국사에서의 음악의 위치 및 우리민족의 음악정신을 이해하며. 우리나라 음악 전반에 대한 음악사를 조사하고 검토하고 검증하여 이론 발전에 토대를 삼는다. |
한국음악선율구조론 | 전통 국악 곡을 양식별로 분류하고 음계, 선율, 리듬, 관현악법, 형식 등을 분석함으로써 국악의 특징 및 구성 원리를 파악하고, 전통 아악과 민속악으로부터 현대창작음악에 이르기까지 중요한 음악문헌을 연구대상으로 한다. 악곡의 역사적, 사회적 배경과 양식 및 기법을 고찰하며, 음반에 의한 감상을 병행하여 한국음악 악곡을 바르게 이해한다. |
민속악연구 | 민간을 중심으로 만들어진 산조, 시나위를 비롯한 판소리, 민요, 사물놀이, 농악, 잡가, 가야금 병창 등과 같은 민속음악에 대하여 연구한다. |
동양음악연구 | 한국과 인접 국가인 중국, 일본, 인도, 동남아시아 등 아시아 지역의 음악적 특징을 가려내고 한국 전통음악과 비교함으로써 한국 전통음악의 특징을 가려낸다. |
한국음악총론 | 한국음악학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음악의 개념, 갈래, 악곡, 악기, 나아가 한국음악의 전박적인 틀을 이해하는 과목이다. 음악의 갈래를 궁중음악, 풍류계음악, 민속음악, 창작국악으로 나누고 개별 갈래의 음악 청취와 분석을 통해 이해한다. |
한국음악교육론 | 역사를 바탕으로 한 다양한 국악 교육 사례와 음악사상을 검토하고 현대 국악교육의 이론, 감상, 실기영역의 다양한 국악교육 사례 및 이론을 확인하여 국악교육에 관한 기본 소양을 증진한다. |
한국전통연희 | 굿, 탈놀이, 판소리 등 한국전통 연희를 새롭게 연극학적 관점, 축제적 관점 등에서 연구하고 학습한다. 탈놀이를 비극적 관점에서 해석하고, 마을굿에서 한국적 축제의 특성을 찾고, 전통연희를 근대적 관점과 정신분석적 관점에서 살펴보는 등 다양한 논의를 하고 다양한 요소와 무대화 가능성을 살펴본다. |
창의적방법을통한국악교수법 | 국악의 다양한 분야(이론, 감상, 악기, 실기)의 교수 학습방법에 대한 다양한 사례에 대해 검토하고 실제 과정 분석을 통한 국악교수 학습방법에 대한 이해와 활용능력을 증진한다. |
한국음악지도방법론 | 유아국악교육기관의 국악강사들을 위한 이론 및 실기 지도 능력을 체계적으로 학습한다. 다양한 국악교육 사례 및 이론을 확인하여 국악교육에 관한 기본 소양을 증진한다. |
논문연구 | 국악에 관련된 논문을 중심으로 고악보 분석, 음악분석, 고문헌 등을 통하여 새로운 이론을 익히고 논문 쓰는 방법 등을 배운다. |
졸업작품 | 졸업을 위한 필수과목으로서 그동안 자신이 배운 것을 발표하는 수업이다. 이에 해당하는 궁중음악, 산조, 민속음악, 창작음악 등 다양하고 각 분야의 맞는 프로그램을 선정하고 이를 졸업 연주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