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세기 문화예술 관련 산업을 육성하고 문화기관에 필요한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다양한 분야의 특화된 전문인재를 양성하는데 목적이 있습니다.
전화번호 | 02-300-1641 |
---|---|
팩스번호 | 02-300-1625 |
위치 | 인문캠퍼스 |

대학원 연혁
2000.07.18. | 문화예술대학원 신설인가 교통관광대학원 문화관광학과 문화경영전공을 문화예술대학원에 편입 문화기획학과와 문화정보학과 문화정보전공, 2개학과 5전공 정원 20명 |
---|---|
2001.03.01. | 초대 문화예술대학원장에 임성빈 교수 취임 |
2001.08.31. | 제1회 학위 수여자 배출 |
2002.03.04. | 문화예술대학원장에 유홍준 교수 취임 예술품감정학과에 예술품감정 전공 신설 총 3개 학과에 6개 전공 정원 30명 |
2002.08.19. | 남산교육관에서 논현교육관으로 이전 |
2003.03.01. | 기록과학대학원 소속이었던 박물관학과, 문화재보존관리학과 문화예술대학원으로 편입 |
2003.10.28. | 문예창작학과(신설), 사진학과(신설) |
2004.06.22. | 논현교육관에서 인문캠퍼스 경상관으로 이전 |
2007.03.01. | 교회음악학과(신설) |
2009.03.01. | 문화예술대학원장에 민경우 교수 취임 |
2010.02.01. | 문화예술대학원장에 윤용이 교수 취임 |
2010.03.01. | 피아노페다고지학과(신설) |
2012.02.01. | 문화예술대학원장에 이태호 교수 취임 |
2012.03.01. | 실용음악학과 소속변경 사회교육대학원 실용음악학과에서 문화예술대학원 실용음악학과 |
2014.02.01. | 문화예술대학원장에 이태호 교수 취임 |
2016.02.01. | 문화예술대학원장에 김차규 교수 취임 |
2017.09.01. | 공연콘텐츠학과(신설) |
2018.02.01. | 문화예술대학원장에 김차규 교수 연임 |
2020.03.01. | 한국음악학과(신설) |
대학원 구성
학과 | 전공 | 학위 |
---|---|---|
문예창작학과 | 문예창작학 전공 | 문학 석사 |
교회음악학과 | 교회음악 전공 | 교회음악학 석사 |
피아노페다고지학과 | 피아노페다고지 전공 | 피아노교수학 석사 |
실용음악학과 | 실용음악 전공 | 실용음악석사 |
미술사학과 | 미술사학 전공 | 미술사학석사 |
공연콘텐츠학과 | 공연콘텐츠전공 | 공연콘텐츠학석사 |
문화재보존관리학과 | 문화재보존관리전공 | 문화재보존관리학석사 |
한국음악학과 | 한국음악전공 | 한국음악학석사 |
한국음악학과
학과소개
교육목표
- 전통음악과 창작음악의 균형 있는 실기교육
- 한국음악분야의 체계적인 학문적 이론교육
- 창의적인 학술연구능력과 연주지도력을 갖춘 리더십 인재 개발
- 경쟁력을 갖춘 우수한 전문 예술인 양성
- 차별화된 특성화 교육프로그램 및 교육시스템 개발
교수진 소개
순번 | 성명 | 소속 | 최종학위 | 전공 |
---|---|---|---|---|
1 | 김차규 | 명지대학교 사학과 교수 | 파리 사회과학연구원 박사 | 비잔티움사 |
2 | 최경국 | 명지대학교 일어일문학과 교수 | 동경대학교 박사 | 표상문화론 |
3 | 최일규 | 명지대학교 영화뮤지컬학부 교수 | 영국라반 석사 | 뮤지컬 |
4 | 강상우 | 명지대학교 객원조교수 | 수원대학교 석사 | 한국음악 |
5 | 류재원 | 명지대학교 시간강사 | 서울대학교 박사수료 | 한국음악 |
6 | 윤진철 | 명지대학교 시간강사 | 용인대학교 석사 | 한국음악 |
7 | 서태경 | 명지대학교 시간강사 | 전북대학교 박사수료 | 한국음악 |
8 | 박현주 | 명지대학교 시간강사 | 한양대학교 박사수료 | 한국음악 |
9 | 정민진 | 명지대학교 시간강사 | 중앙대학교 박사수료 | 한국음악 |
10 | 오지연 | 명지대학교 시간강사 | 한양대학교 박사수료 | 한국음악 |
11 | 문양숙 | 국립국악관현악단 | 중앙대학교 석사 | 한국음악 |
12 | 박애리 | 방송인 | 중앙대학교 석사 | 한국음악 |
13 | 고수영 | 국립국악원 정악단 | 서울대학교 박사 | 한국음악 |
14 | 임현택 | 프리랜서 | 독일 바이마르 박사 | 음악학 |
15 | 김현희 | 서울시립국악관현악단 | 서울대학교 박사 | 한국음악 |
개설 교과목
구분 | 과목명 | 영문명 |
---|---|---|
전공필수 | 고등전공실기 1 | Advanced Individual Instruction Major 1 |
고등전공실기 2 | Advanced Individual Instruction Major 2 | |
고등전공실기 3 | Advanced Individual Instruction Major 3 | |
고등전공실기 4 | Advanced Individual Instruction Major 4 | |
전공선택 | 한국악기론 | Instrument of Korean Music |
예술기획론 | Theory of Arts Planning | |
한국음악사연구 | History of Korean traditional music | |
한국음악선율구조론 | Melodic Structure of Korean Music | |
민속악연구 | Study in Folk Music | |
동양음악연구 | Study in Oriental Music | |
한국음악총론 | Korean Music Theory | |
한국음악교육론 | Korean Music Education | |
한국전통연희 |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 |
창의적방법을통한국악교수법 | Teaching Korean Music through Creative Methods | |
한국음악지도방법론 | Guidance of South Korea to music theory | |
논문연구 | Studies in Thesis | |
졸업작품 | Graduate Performance |
개설 교과목 안내
과목명 | 내용 |
---|---|
고등전공실기 1, 2, 3, 4 |
각 전공에 대한 실기 및 이론의 수준에 따라 신축성 있게 설정되어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교육을 통하여 개개인의 음악적 표현수단, 이론의 체계화를 극대화시켜 음악활동을 도모한다. |
한국악기론 | 한국 전통악기의 분류, 현행 사용악기의 구조, 음역, 음색, 연주법, 연주형태 등의 분석을 통하여 전통음악의 새로운 해석 및 악기개조의 가능성을 검토한다. |
예술기획론 | 공연예술의 관한 공연의 시작과 끝을 기획해 객관적 사실과 근거를 계획서로 정립 및 작성하는 과목으로써, 관념적이고 피상적으로 여겨지는 공연예술을 다양한 시각에서 바라보고 고정적인 사고에서 벗어나 예술의 본질과 좋은 공연을 기획한다. |
한국음악사연구 | 상고시대에서 현대에 이르기까지 국악의 역사전인 발달과정 특히 각 시대의 양식상의 변화. 외래음악의 영향 및 흡수, 사회적인 배경, 악기법의 변천 등을 고찰하고 국사에서의 음악의 위치 및 우리민족의 음악정신을 이해하며. 우리나라 음악 전반에 대한 음악사를 조사하고 검토하고 검증하여 이론 발전에 토대를 삼는다. |
한국음악선율구조론 | 전통 국악 곡을 양식별로 분류하고 음계, 선율, 리듬, 관현악법, 형식 등을 분석함으로써 국악의 특징 및 구성 원리를 파악하고, 전통 아악과 민속악으로부터 현대창작음악에 이르기까지 중요한 음악문헌을 연구대상으로 한다. 악곡의 역사적, 사회적 배경과 양식 및 기법을 고찰하며, 음반에 의한 감상을 병행하여 한국음악 악곡을 바르게 이해한다. |
민속악연구 | 민간을 중심으로 만들어진 산조, 시나위를 비롯한 판소리, 민요, 사물놀이, 농악, 잡가, 가야금 병창 등과 같은 민속음악에 대하여 연구한다. |
동양음악연구 | 한국과 인접 국가인 중국, 일본, 인도, 동남아시아 등 아시아 지역의 음악적 특징을 가려내고 한국 전통음악과 비교함으로써 한국 전통음악의 특징을 가려낸다. |
한국음악총론 | 한국음악학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국음악의 개념, 갈래, 악곡, 악기, 나아가 한국음악의 전박적인 틀을 이해하는 과목이다. 음악의 갈래를 궁중음악, 풍류계음악, 민속음악, 창작국악으로 나누고 개별 갈래의 음악 청취와 분석을 통해 이해한다. |
한국음악교육론 | 역사를 바탕으로 한 다양한 국악 교육 사례와 음악사상을 검토하고 현대 국악교육의 이론, 감상, 실기영역의 다양한 국악교육 사례 및 이론을 확인하여 국악교육에 관한 기본 소양을 증진한다. |
한국전통연희 | 굿, 탈놀이, 판소리 등 한국전통 연희를 새롭게 연극학적 관점, 축제적 관점 등에서 연구하고 학습한다. 탈놀이를 비극적 관점에서 해석하고, 마을굿에서 한국적 축제의 특성을 찾고, 전통연희를 근대적 관점과 정신분석적 관점에서 살펴보는 등 다양한 논의를 하고 다양한 요소와 무대화 가능성을 살펴본다. |
창의적방법을통한 국악교수법 |
국악의 다양한 분야(이론, 감상, 악기, 실기)의 교수 학습방법에 대한 다양한 사례에 대해 검토하고 실제 과정 분석을 통한 국악교수 학습방법에 대한 이해와 활용능력을 증진한다. |
한국음악지도방법론 | 유아국악교육기관의 국악강사들을 위한 이론 및 실기 지도 능력을 체계적으로 학습한다. 다양한 국악교육 사례 및 이론을 확인하여 국악교육에 관한 기본 소양을 증진한다. |
논문연구 | 국악에 관련된 논문을 중심으로 고악보 분석, 음악분석, 고문헌 등을 통하여 새로운 이론을 익히고 논문 쓰는 방법 등을 배운다. |
졸업작품 | 졸업을 위한 필수과목으로서 그동안 자신이 배운 것을 발표하는 수업이다. 이에 해당하는 궁중음악, 산조, 민속음악, 창작음악 등 다양하고 각 분야의 맞는 프로그램을 선정하고 이를 졸업 연주한다. |
공연콘텐츠학과
학과소개
교육목표
개설 교과목
전공 필수과목
교과목명(국문) | 교과목명(영문) | 비고 |
---|---|---|
논문 연구 및 작성법 | Paper Research and Writing Method | |
공연제작실습 1 | MFA Production 1 | |
공연제작실습 2 | MFA Production 2 | 졸업공연 |
개설과목 목록
학기 | 교과목명(국문) | 교과목명(영문) | 구분 | 시간 |
---|---|---|---|---|
1학기 | 퍼포먼스 워크샵 1 | Performance Work-Shop 1 | 2 | |
연기실습 1 | Acting Practice 1 | 2 | ||
공연예술론 | Theory of Performing Arts | 2 | ||
뮤지컬가창 1 | Musical Vocal 1 | 2 | ||
재즈 댄스 1 | Jazz Dance 1 | 2 | ||
스트리트 댄스 1 | Street Dance 1 | 2 | ||
무대일반상식 | Stage General Sense | 2 | ||
2학기 | 퍼포먼스 워크샵 2 | Performance Work-Shop 2 | 2 | |
연기실습 2 | Acting Practice 2 | 2 | ||
연출법 연구 | Studies in Directing Methods | 2 | ||
뮤지컬가창 2 | Musical Vocal 2 | 2 | ||
재즈 댄스 2 | Jazz Dance 2 | 2 | ||
스트리트 댄스 2 | Street Dance 2 | 2 | ||
극장 경영 | Theatre Management | 2 | ||
3학기 | 스타일 연기 | Acting Style Practice | 2 | |
카메라 연기 1 | Acting on Screen 1 | 2 | ||
뮤지컬 레퍼토리 1 | Musical Repertory 1 | 2 | ||
뮤지컬 댄스 1 | Musical Dance 1 | 2 | ||
무용 안무법 | Choreography | 2 | ||
공연문화컨텐츠 세미나 | Cultural Contents Seminar | 2 | ||
공연예술 경영 | Performing Arts Management | 2 | ||
4학기 | 논문 연구 및 작성법 | Paper Research and Writing Method | 필수 | 2 |
카메라 연기 2 | Acting on Screen 2 | 2 | ||
뮤지컬 레퍼토리 2 | Musical Repertory 2 | 2 | ||
뮤지컬 댄스 2 | Musical Dance 2 | 2 | ||
안무 교수법 | Dance Teaching Method | 2 | ||
공연 감상과 비평 | Appreciation & Review | 2 | ||
공연기획 사례연구 | Case Study on Successful Production | 2 | ||
공연제작실습 1 - A | MFA Production 1 - A | 필수 | 2 | |
공연제작실습 1 - B | MFA Production 1 - B | 필수 | 2 | |
공연제작실습 1 - C | MFA Production 1 - C | 필수 | 2 | |
5학기 | 마케팅과 서비스 | Marketing & Service | 2 | |
공연제작실습 2 - A | MFA Production 2 - A | 필수 | 2 | |
공연제작실습 2 - B | MFA Production 2 - B | 필수 | 2 | |
공연제작실습 2 - C | MFA Production 2 - C | 필수 | 2 |
교수진 소개
- 강민규
- 세종대학교 무용학과 학사
- 세종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석사
- 현, 수원 청소년 뮤지컬단 연출가
- 현, 명지대학교 뮤지컬영화학부 객원 조교수
- 박정희
- 명지대학원 뮤지컬학 박사과정
- 현, 명지대학교 ‘뮤지컬 레파토리 ․ 시창 ․ 합창’ 객원 조교수
- 현, 경민대학교 ‘뮤지컬 레파토리’ 출강
- 현, MJ 뮤지컬 컴퍼니 음악감독
- 남우철
- 명지대학교 영화 뮤지컬 학부 학사, 석사
- 명지대학교 뮤지컬 학 박사과정
- 중앙대학교 평생교육원 출강
- 현, 우리 엔터테인먼트 대표
- 현, 대학로 뮤지컬센터 기술 감독
- 현, 한국 무대감독 협회 이사
- 함제범
- 동국대학교 연극영화학과 학사
- 명지대학교 영화뮤지컬학부 석사
- 명지대학교 영화뮤지컬학부 박사수료
- 현, 극단 Studio M 대표, 배우, 연출가
- 현, 웨스트 연기아카데미 원장
- 전, 서울시뮤지컬단 정단원
- 전, 한림연예예술고등학교 뮤지컬학과장
- 동국대, 명지대, 경기대, 세명대, 목원대, 수원여대 출강
문화재보존관리학과
학과소개
교육목표
교수진 소개
- 차병갑 : 주임교수(지류 및 회화 보존)
- 공주대학교 이학석사
- 국립현대 미술관 보존과학실 학예연구관 정년퇴직
- 한국문화재 보존과학회 고문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전통문화연수원 보존처리 객원교수 역임
- 중앙대, 서울대, 예원예술대 강사 역임
- 문화관광부장관, 국무총리 표창 수상
- 강형태 : 문화재 분석, 환경
- 한양대학교 이학박사
-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전문위원
- 국립문화재연구소 유적조사연구실 연구관
- 국립중앙박물관 보존과학 부장
- 공주대학교 문화재보존과학과 겸임교수 역임
- 문화재청 동산문화재 감정위원 역임
- (사)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회장 역임
- 문화부장관, 국무총리 표창 수상
- 국립중앙박물관회 은관상 수상
- 양필승 : 도토기, 금속 보존
- 공주대학교 이학박사
-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연구실 연구원
- 호암미술관 문화재보존연구소 선임연구원
- 서울역사박물관 보존과학과장(현재)
- 중앙대, 용인대 강사 역임
- 김익주 : 목재 보존
- 전남대학교 임학박사
- 문화재관리국 목포해양유물보존처리소 연구원
- 문화재청 국립해양유물전시관 연구사
- 충북대학교 겸임교수 역임
- 전라남도 문화재 전문위원(현재)
- 광주광역시 한옥위원회 위원(현재)
- (재)아시아커뮤니티문화 이사(현재)
- ㈜씨엔티/경담연구소 소장(현재)
- 김사덕 : 석조, 벽화 보존
- Herzen State Pedagogical University of Russia 박사
-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강사 역임
- 국립문화재연구소 보존과학센터 무기물보존팀장(석재, 벽화, 금속)(현재)
개설 교과목
교과목명(국문) | 교과목명(영문) |
---|---|
문화재학개론 | Introduction to Cultural Heritage Science |
문화재보존과학론 | Sciences in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
지류문화재보존실습 | Conservation Practice in Paper Cultural Heritage |
금속문화재보존실습 | Conservation Practice in Metallic Cultural Heritage |
문화재재료분석실습 | Practice in Analytic Methods in Cultural Heritage Materials |
문화재화학실습 | Practice in Cultural Heritage Chemistry |
도토기보존학 | Ceramic and Pottery Conservation |
도토기보존실습 | Practice in Ceramic and Pottery Conservation |
회화문화재보존실습 | Conservation of Painting Cultural Heritage |
석조문화재보존학 | Conservation of Stone Cultural Heritage |
석조문화재보존실습 | Practice in Stone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
문화재미생물학 | Cultural Properties Microorganism |
목재문화재보존학 | Conservation of Wooden Cultural Heritage |
목재문화재보존실습 | Practice in Wooden Cultural Heritage Conservation |
출토유물보존연습 | 문화재학개론 |
문화재학개론 | 문화재학개론 |
문화재학개론 | Practice in Excavated Articles Conservation |
유기물보존기초실습 | Practice in Organic matter Conservation |
유기물재료보존실습 | Practice Conservation in Organic matter materials |
무기물보존기초실습 | Practice in Inorganic matter Conservation |
무기물재료보존실습 | Practice Conservation in Inorganic matter materials |
문화재강독 | textual exposition in Cultural Heritage |
미술사학과
학과소개
교육목표
전통적인 학문 연구를 바탕으로 미래 지향적 탐구 학문과 상호 호응할 수 있는 첨단화된 교육을 지향하고, 21세기 비전에 따라 학문 연구의 중심적인 구축역할을 하도록 우수한 인재를 배출하여 발전하는데 있다.
- 가) 학문에 대한 보다 깊이 있는 연구를 통한 좀더 넓은 영역의 학문으로 나아 갈 수 있는 기초를 확립할 수 있게 해준다.
- 나) 국, 내외 유수 박물관이나 미술관에서의 현장실무에 참여하여 경험을 쌓는다.
- 다) 역사현장의 답사를 통한 다양한 연구의 영역을 확립해 준다.
교수진 소개
직급 | 성명 | 학위명 | 전공 | 비고 |
---|---|---|---|---|
주임교수 | 최 선 아 | 박사 | 불교미술사 | |
초빙교수 | 이 태 호 | 석사 | 한국회화사 | |
석좌교수 | 유 홍 준 | 석사 | 한국미술사 | |
석좌교수 | 윤 용 이 | 석사 | 한국도자사 | |
교 수 | 이 지 은 | 박사 | 현대미술사 | |
교 수 | 이 주 현 | 박사 | 중국미술사 |
개설 교과목
교과목명(국문) |
구분 |
학점 |
1970년이후의미술사연구 |
전공선택 |
3 |
19세기서양미술사 |
전공선택 |
3 |
고려도자사 |
전공선택 |
3 |
근현대미술감정 |
전공선택 |
3 |
근현대아시아미술사 |
전공선택 |
3 |
기독교미술세미나 |
전공선택 |
3 |
뉴미디어아트이론과비평론 |
전공선택 |
3 |
동서미술교섭사 |
전공선택 |
3 |
르네상스와바로크미술사 |
전공선택 |
3 |
미술사방법론 |
전공선택 |
3 |
미술품상태조사 |
전공선택 |
3 |
미학사 |
전공선택 |
3 |
박물관학특강 |
전공선택 |
3 |
분석실험및해석 |
전공선택 |
3 |
불교미술세미나 |
전공선택 |
3 |
불교미술특강 |
전공선택 |
3 |
서양건축사 |
전공선택 |
3 |
서양고전미술사 |
전공선택 |
3 |
서양미술사세미나 |
전공선택 |
3 |
서양중세미술사 |
전공선택 |
3 |
선사미술과고고학연구 |
전공선택 |
3 |
시각문화이론연구 |
전공선택 |
3 |
예술품 감정실습 |
전공선택 |
3 |
인도중앙아시아미술 |
전공선택 |
3 |
일본미술사 |
전공선택 |
3 |
작가론 |
전공선택 |
3 |
조선도자사 |
전공선택 |
3 |
조선시대회화사 |
전공선택 |
3 |
중국건축사 |
전공선택 |
3 |
중국도자사 |
전공선택 |
3 |
중국조각사 |
전공선택 |
3 |
중국회화사 |
전공선택 |
3 |
중국회화사연구Ⅱ |
전공선택 |
3 |
포스트모더니즘미술이론세미나 |
전공선택 |
3 |
한국건축사 |
전공선택 |
3 |
한국고고학연구 |
전공선택 |
3 |
한국고대회화사 |
전공선택 |
3 |
한국공예사 |
전공선택 |
3 |
한국근대회화세미나 |
전공선택 |
3 |
한국근현대미술사 |
전공선택 |
3 |
한국도자사 |
전공선택 |
3 |
한국도자사연습 |
전공선택 |
3 |
한국미술사세미나 |
전공선택 |
3 |
한국서예론 |
전공선택 |
3 |
한국조각사 |
전공선택 |
3 |
한국회화사 |
전공선택 |
3 |
현대미술과사진 |
전공선택 |
3 |
현대미술이론연구 |
전공선택 |
3 |
회화작품복원 |
전공선택 |
3 |
문예창작학과
학과소개
교육목표
개설교과목
신세대작품연구, 소설창작특수연구, 소설창작과 비평, 현대비평론, 현대소설작품론, 현대문제작탐구, 현대시창작특강, 한국현대시인론, 시창작특수연구, 시창작론, 한국현대시사, 현대희곡의 이해, 희곡창작특수연구, 한국연극사, 소설의 이해와 작법, 현대시창작 특강, 아동문학특강
교회음악학과
학과소개
교육목표
개설교과목
- 전공실기 1,2,3,4 (Private Lesson Ⅰ,Ⅱ,Ⅲ,Ⅳ)
지도교수의 개인지도를 통하여 전공분야의 작품을 깊이 연구하고, 고도의 연구기술과 해석법을 익힌다. - 구약개론 (Introduction to Old Testament)
성서 내용을 소개․설명하고, 이스라엘의 역사와 관련하여 구약을 전체적으로 이해시킨다. - 신약개론 (Introduction to New Testament)
신약성서의 배경이 되는 신약사와 신약성서의 정경화 과정을 다루는 정경사화 신약성서 개론을 공부한다. - 찬송가학 (Seminar in Hymndogy)
교회사와 찬송가와의 상호관계를 다룬다. - 음악목회 (Pastoral Music)
음악목회에 대한 올바른 신학적 이해를 통해 음악목회의 본질을 파악하고, 이를 바탕으로 음악목회의 사명, 음악목회자의 역할과 자질, 그리고 모든 구체적인 프로그램에 대해 다룬다. - 조성음악연구 (Tonal Theory Research)
18-19세기 조성음악의 화성어법을 이해하고, 성부진행의 기술을 연마하여 이를 조성음악 작품분석에 적용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다. - 비조성음악연구 (Atonal Theory Research)
20세기 음악분석의 대표적 방법으로 자리잡은 집합이론을 배우고, 이 이론을 바탕으로 작품들을 분석한다. - 음악분석 (Form and Analysis)
전통화성, 현대화성, 대위법 등 음악이론의 총체적 복습과목으로, 음악의 시대적 양식에 따라 특정 작곡가를 선정하여 화성분석, 형식분석, 작곡기법 등을 다룬다. - 음악사 (History of Music)
고대부터 르네상스에 이르기까지 바로크시대부터 현대에 이르는 음악사의 발달과정을 역사적으로 분석한다. - 교회음악 세미나 (Seminar in Church Music)
신ㆍ구약 시대에서 종교개혁시대와 현대에 이르기까지 기독교 음악 발달사와 역사적 사건, 인물, 교파음악의 특성과 공헌, 중요한 음악형식 및 한국교회의 음악현실을 알아 본다. - 대중음악연구 (Popular Music Research)
매우 다양하고, 모호하고, 광범위한 대중음악의 형식, 표현, 감상 등을 다루면서 대비되는 순수음악과의 차이점, 상업성, 경계 등을 이해한다. - 합창지휘법 고급 (Advanced Choral Conducting)
지휘법의 기본과 응용을 익히고, 합창음악의 특징을 체득하는 동시에 시대별, 종류별 여러 합창음악의 해석과 연주의 문제점을 구체적으로 다루어 합창지휘의 기본능력을 갖춘다.
교과과정
- 1전공실기
모든 실기분야 대학원 학생은 교회음악학과 교수 중 1명을 택하여 전공실기지도를 받아야 한다. 단, 부득이한 사정으로 교회음악학과 교수의 실기지도가 불가능 할 경우에는 주임교수가 본교 전임교수 또는 강사를 전공실기지도교수로 임명할 수 있다. - 2종합시험
- 전공문헌 포함한 2과목 : 이론전공
- 졸업연주 계획서 심사 : 실기전공 - 3졸업, 공개연주
석사과정의 실기전공생은 종합시험에 합격 후 5학기에 1회의 졸업연주회(60분 내외, 작곡전공은 30분 이상)를 가져야 한다.
피아노페다고지학과
학과소개
교육목표
개설교과목
- 전공실기 1, 2, 3, 4 (Applied PianoⅠ,Ⅱ,Ⅲ,Ⅳ)
각 시대별 피아노곡을 실기레슨을 통해 연주 실력을 연마한다. - 피아노 교수학 개론 (Introduction to piano Pedagogy)
시대에 따른 피아노 교수법의 변천을 알아보고 21C에 갖추어야 할 교육이론과 교육심리 및 문헌을 살펴본다. - 피아노 교수법Ⅰ,Ⅱ (piano PedagogyⅠ,Ⅱ)
피아노 교육의 본질과 다양한 교수법의 접근을 통하여 질적으로 우수한 피아노 교육을 체험케 한다. 이론과 실기를 겸하여 귀 훈련, 음악의 구조, 연주 기술을 연마하여 학생에게 단계별로 음악을 체험케 하는 교수법을 연구한다. - 피아노 문헌 세미나Ⅰ,Ⅱ (Piano Literature SeminarⅠ,Ⅱ)
서양의 기악 음악 가운데 피아노 음악의 발생에서부터 현대에 이르기까지의 피아노 발달사 및 피아노 작품의 시대적 특성을 감상 및 문헌을 통해 연구한다. - 피아노 교수 실습 (Internship in Piano Teaching)
유아에서부터 음악 전공자에 이르기까지 개인 혹은 그룹으로 지도하는 실습 시간을 가지고 학교 안에 개설된 교과목의 청강을 통해 교수 방법의 장,단점을 분석하고 토론하는 시간을 가져 보다 효율적인 피아노 교수법을 모색해 본다. - 고급 건반 화성 및 피아노 반주 문헌 (Advanced Keyboard Harmony and Piano Acconpany Literature)
음악 이론, 건반 화성, 이조, 등의 기술을 실습을 통하여 익히고 이를 기초로 반주, 앙상블 등의 연주 경험을 쌓는다. 고급 건반화성을 통해 익힌 코드로 즉흥 연주하기, 어린이 반주법 지도 및 성인을 위한 반주법 교재를 연구한다. - 피아노 앙상블 문헌 (Piano Ensemble Literature)
국내에서 출판된 다양한 앙상블 문헌을 연구한 수 난이도 별로 곡을 분류하여 학생들에게 적용할 수 있는 교수 방법을 익히고, 앙상블을 통하여 조화와 균형 속에서 각 개인의 능력 개발, 협동 정신, 예술적 표현을 배운다. - 초급 피아노 교수법 (Beginning Piano Pedagogy)
초급 수준의 학생들에게 피아노를 지도할 때 필요한 기초 테크닉들과 다양한 초급 피아노 교재들을 비교 연구함으로써 보다 효율적으로 학생들을 가르칠 수 있는 방법을 터득하게 된다. - 피아노 연주 세미나 (Seminar in Piano Performance)
피아노 관련 서적들의 분석을 통해 피아노 연주에 관련된 기본적인 내용들을 다루면서 시대별로 다양한 페다고지 문헌들을 찾아보고 연주해 본다. - 컴퓨터 음악의 이해와 기법(Computer Music Theory and Application)
기초적인 컴퓨터 프로그램 기술을 바탕으로 각종 음악을 위한 프로그램 등을 다루는 기술과 디지털 피아노의 사용방법을 익힌 후 다양한 음악활동으로 음악교육에 적용하는 방법을 배운다. - 논문 연구 (Thesis Study)
석사학위 논문과 함께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개발한다.
교과과정
학기 | 피아노 교수학과 |
---|---|
1학기 | 전공실기 Ⅰ, 피아노 교수법Ⅰ, 피아노 문헌 세미나Ⅰ |
2학기 | 전공실기 Ⅱ, 피아노 교수법 Ⅱ, 피아노 문헌 세미나 Ⅱ |
3학기 | 전공실기 Ⅲ, 고급 건반 화성 및 피아노 반주 문헌, 교수실습 |
4학기 | 전공실기 Ⅳ, 피아노 앙상블 문헌, 연주 세미나 |
5학기 | 졸업연주 및 논문 |
구분 | 교과목 명 | 학점 | 시간 |
---|---|---|---|
전공필수 | 전공실기Ⅰ | 3 | 4 |
전공실기Ⅱ | 3 | 4 | |
전공실기Ⅲ | 3 | 4 | |
전공실기Ⅳ | 3 | 4 | |
전공선택 | 피아노 교수학 개론 | 3 | 4 |
피아노 교수법Ⅰ | 3 | 4 | |
피아노 교수법Ⅱ | 3 | 4 | |
피아노 문헌 세미나Ⅱ | 3 | 4 | |
교수 실습 | 3 | 4 | |
고급건반화성및피아노반주문헌 | 3 | 4 | |
초급 피아노 교수법 | 3 | 4 | |
피아노 앙상블 문헌 | 3 | 4 | |
피아노 연주 세미나 | 3 | 4 | |
논문 연구 | 3 | 4 | |
컴퓨터 음악의 이해와 기법 | 3 | 4 | |
졸업연주 또는 논문 | 3 | 4 |
실용음악과
학과소개
교육목표
개설교과목
- 전공실기(Private Lesson)
학습자와의 일대일 학습 지도를 통해 개인의 특성과 소질을 개발하고 능력을 극대화시켜 전문 음악인으로서의 자질을 갖추게 하고 전공과 관련한 다양한 영역에서 균형 있는 학습을 수행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 고급 컴퓨터음악 (Advanced MIDI Techniques)
컴퓨터 음악과 관련된 주변기기들(Synthesizer, System)의 사용과 MIDI Sequence 프로그램 Cubase를 이용하여 데이터(소리)를 입력, 편집, 출력 할 수 있도록 학습한다. 또한 컴퓨터음악을 이해하기 위해 필요한 하드/소프트웨어에 관하여 학습하고 컴퓨터 음악의 고급 이론과 가상악기(VSTi)의 기능과 효과를 통하여 작품을 만드는 실습과정이다. - 사운드 디자인 (Sound Design for Music Synthesis)
전자 음향 이론을 연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신디사이저와 사운드 어플리케이션에서 어쿠스틱 음향을 전자음향으로 조합해 가는 과정을 실습하는 한편 전자악기의 하드웨어적 특성도 함께 연구한다. - 전공세미나(Directed Study)
학습자와 교수 사이의 그룹 스터디 형식으로 진행되는 이 과정은 작곡, 연주, 노래 등 전공분야에 따른 주제별 분석과 실습을 통해 전공 영역에 관한 이해를 심화시키고 졸업연주를 위한 준비과정으로서의 역할도 겸한다. - 현대작곡기법 (Contemporary Composition Techniques)
모던 재즈 이후 현대에 이르는 다양한 양식적 변화를 연구하고 분석과 작곡 실습을 통해 현대적인 작곡과 편곡기법을 습득 함으로서 기존의 대중적 음악어법을 보다 창의적이고 실험적인 창작 능력으로 발전시킨다. - 가창연구 (Advanced Vocal Techniques)
역사적으로 실력을 인정받았던 국내외 보컬리스트들이 사용하고 있는 다양한 가창 법을 체계적으로 연구한다. - 싱어송라이터 연구 (Study of Singer-Songwriter)
아티스트 별로 그들의 음악과 사상을 분석하여 다양한 음악적 기법을 이해하고 궁극적으로 싱어송라이터가 되기 위한 작사, 작곡 기술을 연마하고 작품 기획에서 노래까지 종합적인 과정들을 연구하고 실습한다. - 실용음악 제작 (Music Production)
공연, 음반, 방송, 영화 등을 포함하는 음악제작의 영역과 분야별 제작과정을 고찰하고 기획, 제작에서 마케팅에 이르는 시스템을 주요 사례를 들어 연구한다. 음악 제작자와 전문 연주자를 위해 그 제작과 관련된 제반 과정을 이해하게 함에 그 목적이 있다. - 선법 화성학 (Modal Harmony)
실용화성의 현대적 경향으로 활용되어온 선법 화성을 연구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작품으로 한 작품의 분석을 통해 기능 화성에서 확대된 화성법의 기법을 익히고 응용력을 기른다. - 즉흥연주 분석 (Improvisation Analysis)
실용음악 전반에 걸친 여러 양식의 즉흥연주를 채보하고 분석함으로써 즉흥 연주의 개념을 이해하고 학습된 내용을 실제 연주에 반영, 실습하여 즉흥연주의 능력을 함양한다. - 현대즉흥연주 (Modern Improvisation Techniques)
현대 대중음악의 근간을 이루는 블루스의 탄생 배경에서부터 현재에 이르는 과정을 시대별, 작곡자, 연주자 별로 연구하고 실습한다. 주로 블루스 양식을 중심으로 한 즉흥연주기법을 바탕으로 고급 즉흥연주기법의 이해와 활용을 목표로 한다. - 퓨젼합주 (Fusion Ensemble)
연주와 보컬전공을 위해 마련된 합주실기 과목으로서 현대적이고 실험성이 강한 퓨전 양식의 음악을 분석하고 연주 실습하여 더욱 세련된 연주 기술을 습득하고 현대적 감각과 함께 예술적 완성도를 지닌 연주자로 발전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 스튜디오 레코딩 (Studio Recording)
음악제작의 마지막 과정이라 할 수 있는 레코딩 실습 과정을 학습하며 실용 음악인으로서 전문적인 자질을 갖추게 하고 또한 뮤직 프로듀싱과 레코딩 엔지니어링을 전문으로 학습할 수 있는 과정이다.